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장치처럼 동작하게 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데이터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RAID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대표적으로 RAID 0, RAID 1, RAID 5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RAID 방식의 설정 방법과 데이터 복구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합니다.RAID의 주요 구성 방식1. RAID 0: 스트라이핑(Striping)구조: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누어 병렬로 저장하여 읽기/쓰기 속도를 극대화합니다.특징:성능: RAID 중 가장 높은 성능 제공.안정성: 디스크 중 하나라도 손상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활용: 고속 데이터 처리 작업(..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과 컨테이너(Container)는 IT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 기술은 리소스를 격리하고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설계와 동작 방식, 사용 사례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 및 실제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의 구조적 차이1. 가상 머신(VM)의 구조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물리적 하드웨어 위에서 다수의 VM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계층.독립 운영 체제(OS): 각 VM은 자체 운영 체제를 포함하며, 하드웨어를 가상화하여 사용.리소스 격리 수준: 높은 수준의 격리를 제공하며, 각각의 VM..
GPU(그래픽 처리 장치)는 고성능 작업을 수행할 때 많은 열을 발생시킵니다. 게임, 3D 렌더링, 머신러닝 작업 등 GPU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온도가 상승하여 성능 저하(써멀 스로틀링)와 하드웨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 관리와 효과적인 쿨링 솔루션을 선택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GPU 온도 관리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GPU의 적정 온도 범위GPU 제조사마다 적정 온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온도 범위를 권장합니다:아이들(Idle): 30°C~50°C부하(Full Load): 70°C~85°C위험 온도: 90°C 이상→ 온도가 90°C를 초과하면 성능 저하와 함께 하드웨어 손상 위험이 높아집니다.GPU 온도가..
BIOS 설정을 통해 **XMP(eXtreme Memory Profile)**를 활성화하면 RAM의 최대 성능을 손쉽게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XMP는 메모리 제조사가 기본적으로 설정한 고성능 프로파일로, 사용자가 별도의 복잡한 작업 없이 메모리 속도와 타이밍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XMP를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호환성 문제나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XMP 활성화의 개념과 과정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XMP란 무엇인가?XMP는 인텔에서 개발한 메모리 프로파일 기술로, RAM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클럭 속도와 타이밍을 조정합니다. AMD 플랫폼에서도 XMP를 지원하며, 일부 메인보드에서는 **DOCP(DRAM Overclock Profil..
저장 장치는 컴퓨터의 속도와 효율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최근 NVMe SSD가 보편화되며 기존의 SATA SSD와의 성능 차이가 화두에 올랐습니다. NVMe SSD는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지만, 특정 사용 환경에서는 SATA SSD도 충분히 유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NVMe와 SATA SSD의 구조적 차이와 성능 비교를 통해 어떤 저장 장치가 적합한지 알아보겠습니다.NVMe SSD와 SATA SSD의 주요 차이1. 데이터 인터페이스SATA SSD: SATA II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최대 대역폭은 6Gbps(750MB/s).NVMe SSD: PCI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PCIe 3.0에서는 최대 32Gbps, PCIe 4.0에서는 64Gbps.→ NVMe는 SATA..
컴퓨터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는 **메모리(RAM)**입니다. 최근 DDR5 메모리가 출시되면서 기존 DDR4 메모리와의 성능 차이 및 업그레이드 여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DDR5는 더 높은 대역폭과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시스템 호환성과 가격 측면에서 고민할 요소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DR4와 DDR5의 주요 차이를 분석하고, 업그레이드 시 고려해야 할 기준을 정리해보겠습니다.DDR4와 DDR5의 주요 차이점1. 데이터 전송 속도DDR4: 기본 클럭 속도는 2133MHz~3200MHz로 제공됩니다.DDR5: 시작 클럭이 4800MHz부터 시작하며, 이론상 최대 8400MHz 이상까지 가능.→ DDR5는 DDR4 대비 2배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공합니다.2. 전압 효율성D..